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당뇨병에 좋은 음식
- 오메가3
- 자본의밥상
- 건강기능식품
- 밀가루
- 백색의 공포
- 비타민C
- 효소
- 코큐텐
- 혈당
- 알코올
- 유전과 당뇨
- 담배와 당뇨
- 바나톨
- 뇌
- 콜레스테롤
- 당뇨와 바나톨
- 당뇨병
- 그린웰플러스
- 경구포도당부하검사
- 코엔자임
- 공복혈당
- 당화혈색소
- 살인범의 심리
- N-아세틸글루코사민
- 고지혈증
- 란투스
- 칼슘
- 인슐린주사 부작용
- 당뇨
Archives
- Today
- Total
바람숲길
제2의 뇌 "장" 본문
새롭게 발견된 세로토닌(serotonin) 이라는 신경물질은 쥐의 자궁을 수축할 수 있었지만 환각제인 LSD라는 화합물에 의해 그 과정이 저지될 수 있었다. 인체에서 만들어지는 세로토닌의 95%가 창자에서 만들어진다. 소화기관 신경계는 최소한 뇌를 포함하는 중추신경계보다는 훨씬 간단하다. 중추신경계인 뇌 혹은 척수의 지시 없이도 외부의 자극에 대해 조건반사를 할 수 있는 신경계를 가진 유일한 기관이 소화기관이다. 소화기관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을 모두 가지고 있다.
(출처: "제2의 뇌" 저자: 마이클 D. 거숀
컬럼비아대학 해부학과에 재직중인 신경생물학자. 코넬대학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 현대 신경위장과학의 대부로 통한다. 거숀 박사는 이 소화기관 신경계에서 세로토닌이라고 하는 싱경전달물질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약물 혹인 우리가 먹는 음식, 기회식품이 소화기관의 신경계와 어떤 상호작용을 하는지를 꾸준히 연구하고 있다)
'추천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TV에서 쉬쉬하는 음식의 진실 (0) | 2016.02.15 |
---|---|
21세기가 당신을 살찌게 한다 (0) | 2016.02.15 |
약을 끊어야 병이 낫는다 (0) | 2016.02.11 |
기적의 킬레이션 치료법 (0) | 2016.02.11 |
TV에서 쉬쉬하는 음식의 진실 (0) | 2016.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