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숲길

한반도가 흔들렸다 본문

다큐정리

한반도가 흔들렸다

윤석금 2016. 9. 23. 16:59

한반도가 흔들렸다

시사기획 창 419회 2016-9-20


▣ 홍태경 /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본진의 규모가 5.8로서 비교적 컸기 때문에 여진이 이론적으로 발생 가능한 것은 5점 대 초반도 가능합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시사기획 창.E419.160920.한반도가 흔들렸다.720p-NEXT.mp4_000356074.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720pixel
카메라 제조 업체 : Gretech Corporation
카메라 모델 : GomPlayer 2, 3, 4, 5256 (KOR)
프로그램 이름 : GomPlayer 2, 3, 4, 5256 (KOR)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시사기획 창.E419.160920.한반도가 흔들렸다.720p-NEXT.mp4_00041951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720pixel
카메라 제조 업체 : Gretech Corporation
카메라 모델 : GomPlayer 2, 3, 4, 5256 (KOR)
프로그램 이름 : GomPlayer 2, 3, 4, 5256 (KOR)


- 부산/경주/울진까지 직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가장 큰 단층인 “양산단층”

- 옆으로 서로 단층이 어긋나면서 지진발생

▣ 김소구 / 한국지진연구소장

“지진이라는 것은 쉽게 얘기하면 땅속의 에너지가 쌓였다가 축적되었다가 어느 순간 밖으로 방출되는 겁니다. 그런데 방출을 어디서 하냐 지표가 제일 약한 곳 이 지표가 약한 곳이 단층입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시사기획 창.E419.160920.한반도가 흔들렸다.720p-NEXT.mp4_000570175.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720pixel
카메라 제조 업체 : Gretech Corporation
카메라 모델 : GomPlayer 2, 3, 4, 5256 (KOR)
프로그램 이름 : GomPlayer 2, 3, 4, 5256 (KOR)


▣ 김영석 / 부경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

“지층이라고 하는 것은 퇴적물들이 쌓여 있는 것을 말하는 것이고요. 단층은 그런 지층들을 절단하고 있는 것을 단층이라고 합니다. 주위에 활성단층들이 계속 발견이 되니까 안전 문제에 대해서 우리가 좀 더 고려를 해봐야 되지 않느냐 하는 얘기들이 많이 나오고 있고요. 그 다음에 월성도 마찬가지로 월성 주위에 가장 위험하다 보고 있는 울산단층이 있고 그 주위에 작은 활성단층들이 많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월성원전의 안전성에 대해서 굉장히 많은 우려를 하고 있는 상황인 거죠.”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시사기획 창.E419.160920.한반도가 흔들렸다.720p-NEXT.mp4_00081760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720pixel
카메라 제조 업체 : Gretech Corporation
카메라 모델 : GomPlayer 2, 3, 4, 5256 (KOR)
프로그램 이름 : GomPlayer 2, 3, 4, 5256 (KOR)


☞ 전 원자력 위원회 위원(2011년)

“원전 구조를 보강하는 비용도 만만치 않지만 공사 때문에 몇 달 동안 원전 가동을 중단해야 하는데 따른 손실이 막대하다는 이유 때문입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시사기획 창.E419.160920.한반도가 흔들렸다.720p-NEXT.mp4_000937819.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720pixel
카메라 제조 업체 : Gretech Corporation
카메라 모델 : GomPlayer 2, 3, 4, 5256 (KOR)
프로그램 이름 : GomPlayer 2, 3, 4, 5256 (KOR)

▣ 양이원영 /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팀 처장

“하나같이 최대 지진은 규모 7.0 정도는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어떤 최근의 논문들은 규모 7.4~7.5까지도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 동남부 지역은 대규모 활성단층대라고 하는 양산단층대, 울산단층 이런 단층대들이 6~7개가 크게 분포하고 있고...”


▣ 조원철 / 연세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명예교수

“후쿠시마원전 사고 때는 쓰나미 접근 속도가 약 시속 700km였습니다. 그래서 고리원전은 현재 10m 정도 지반 높이에서 5m 정도 더 높이 해벽을 쌓아서 쓰나미가 침투하는 것을 막도록 해주는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 2011.3.11. 동일본대지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시사기획 창.E419.160920.한반도가 흔들렸다.720p-NEXT.mp4_001091319.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720pixel
카메라 제조 업체 : Gretech Corporation
카메라 모델 : GomPlayer 2, 3, 4, 5256 (KOR)
프로그램 이름 : GomPlayer 2, 3, 4, 5256 (KOR)


- 1년에 9cm씩 만들어저서 서쪽으로 이동하여 마지막으로 도착하는 곳이 일본동쪽 해안이다. 태평양판은 유라시아판으로 들어가면서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지진이 발생한다. 해양지각이 매끈하지 않고 울통불통하고 이 부분이 맨틀에 걸리게 되어 발생한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시사기획 창.E419.160920.한반도가 흔들렸다.720p-NEXT.mp4_001118757.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720pixel
카메라 제조 업체 : Gretech Corporation
카메라 모델 : GomPlayer 2, 3, 4, 5256 (KOR)
프로그램 이름 : GomPlayer 2, 3, 4, 5256 (KOR)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시사기획 창.E419.160920.한반도가 흔들렸다.720p-NEXT.mp4_001206828.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720pixel
카메라 제조 업체 : Gretech Corporation
카메라 모델 : GomPlayer 2, 3, 4, 5256 (KOR)
프로그램 이름 : GomPlayer 2, 3, 4, 5256 (KOR)

▣ 히노 료타 / 일본 동북대 지진학과 교수

“유라시아 대륙판이 오른쪽 태평양쪽으로 계속 움직였습니다. 이쪽이 아시아 대륙이고 이쪽이 태평양 방향이고 지진 전에는 이런 형태로 돼 있었습니다. 압력 때문에 계속 휘어지게 되고 지진이 나면서 대륙 지각이 해양 지각을 덮어 버렸습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시사기획 창.E419.160920.한반도가 흔들렸다.720p-NEXT.mp4_001247998.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720pixel
카메라 제조 업체 : Gretech Corporation
카메라 모델 : GomPlayer 2, 3, 4, 5256 (KOR)
프로그램 이름 : GomPlayer 2, 3, 4, 5256 (KOR)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시사기획 창.E419.160920.한반도가 흔들렸다.720p-NEXT.mp4_00127155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720pixel
카메라 제조 업체 : Gretech Corporation
카메라 모델 : GomPlayer 2, 3, 4, 5256 (KOR)
프로그램 이름 : GomPlayer 2, 3, 4, 5256 (KOR)▣ 고다히라 슈이치 / 일본 해양연구개발기구 지진센터장

“한반도를 포함해 아시아 대륙까지 영향을 미쳐 조금씩이지만 동쪽으로 움직이는 운동을 했을 겁니다. 그래서 일본 열도뿐만 아니라 아시아 대륙이라든가 한반도 지진 활동도 지금까지와 달라졌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의 활성단층에도 영향을 줬다는 건 부정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 홍태경 /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규모 5점대의 지진이 한 달 새, 세 차례나 보이는 아주 기이한 현상으로 연결돼 있거든요. 동일본대지진이 발생하면서 한반도가 일본으로 끌려가면서 지각이 큰 교란을 겪게 됩니다. 그에 따라서 한반도는 동일본대지진 전후로 지진 발생 빈도가 급증하는 일이 발생하고 큰 지진의 발생빈도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시사기획 창.E419.160920.한반도가 흔들렸다.720p-NEXT.mp4_00151046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720pixel
카메라 제조 업체 : Gretech Corporation
카메라 모델 : GomPlayer 2, 3, 4, 5256 (KOR)
프로그램 이름 : GomPlayer 2, 3, 4, 5256 (KOR)


▣ 김경호 / 한국지질자원 연구원 선임연구원

“스트리머(수진기)라고 하는 장치입니다. 지금 약 1.2km정도 나가 있는 장비로 발생하는 음파를 수진해서 해저지질 영상을 만드는 장비입니다. 그리고 지금 보시는 이 노란 케이블에 연결돼 있는 장치가 에어건이라고 하는 장치입니다.”


▣ 김경오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선임연구원

“해저면에서 그런 현상이 나타났다면 그게 단층하고 관련이 됐다면 그 단층이 굉장히 위험한 단층에 해당되기 때문에 보다 정밀한 조사가 필요하거든요. 해저면까지 영향을 미쳤다는 말은 그 단층이 굉장히 젊은 단층이라는 얘기고 활성단층의 기준이 나라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굉장히 가까운 연대에 발생했다면 활성단층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지표변화는 굉장히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입니다.”

묶음 개체입니다.


- 2016년 7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부산 남동측 15km에서 새로운 활성단층 발견”


☞ 한반도 해역에서 지진이 발생


▣ 홍태경 교수

“지진이 발생한다는 것은 곧 그 지역에 활성단층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현재 동해안 연안과 서해안을 따라서 많은 지진들이 발생하고 있고 이곳은 그곳에 단층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해양지역은 내륙과 달리 탐사와 조사에 한계가 많은 지역이어서 내륙처럼 자세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많은 기간 시설이 해안 연안 지역에 밀접돼 있는 상화이어서 이런 지역을 중심으로 해양 단층에 대한 조사가 필요합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시사기획 창.E419.160920.한반도가 흔들렸다.720p-NEXT.mp4_002056788.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720pixel
카메라 제조 업체 : Gretech Corporation
카메라 모델 : GomPlayer 2, 3, 4, 5256 (KOR)
프로그램 이름 : GomPlayer 2, 3, 4, 5256 (KOR)


☞ 서울 지하철 7호선 한강하저터널 공사에서(2007년 10월) 단층이 발견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시사기획 창.E419.160920.한반도가 흔들렸다.720p-NEXT.mp4_002143324.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720pixel
카메라 제조 업체 : Gretech Corporation
카메라 모델 : GomPlayer 2, 3, 4, 5256 (KOR)
프로그램 이름 : GomPlayer 2, 3, 4, 5256 (KOR)

▣ 당시 시공사 관계자

“단층에 대한 조사는 해서 단층이 어디에 있다는 건 알고 있어요. 그다음에 그것에 대해서 예를 들어서 활성이냐 비활성이냐 이런 건 조사를 안했다는 거죠.”

묶음 개체입니다.














▣ 이기화 /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명예교수

“한반도의 지진 활동은 매우 불규칙하지만 통계적으로 역사지진 기록을 분석해 보면 규모 6.7 정도 지진은 100년에 한 번 정도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 겁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시사기획 창.E419.160920.한반도가 흔들렸다.720p-NEXT.mp4_00237054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720pixel
카메라 제조 업체 : Gretech Corporation
카메라 모델 : GomPlayer 2, 3, 4, 5256 (KOR)
프로그램 이름 : GomPlayer 2, 3, 4, 5256 (KOR)


▣ 홍태경 교수

“역사지진의 분포와 계기지진의 분포는 상당히 유사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내륙 지역을 중심으로 볼 때는 서해안, 속리산, 일원, 동해안, 남해 일원에서 지진 빈도가 굉장히 높다는 걸 확인할 수 있고요. 하지만 역사지진과 계기지진이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이 한 가지가 있는데 역사지진에서는 수도권 일원에서 굉장히 높은 지진 발생 빈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 그 뿐만 아니라 수도권 일원에서 과거에 큰 지진 피해를 봤던 사례들이 있거든요. 이 얘기는 한반도에서 수도권 일원에서는 굉장히 긴 시간동안 힘이 쌓이고 한 번씩 지진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시사기획 창.E419.160920.한반도가 흔들렸다.720p-NEXT.mp4_002461328.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720pixel
카메라 제조 업체 : Gretech Corporation
카메라 모델 : GomPlayer 2, 3, 4, 5256 (KOR)
프로그램 이름 : GomPlayer 2, 3, 4, 5256 (KOR)


▣ 경재복 / 한국교원대 지구과학과 교수

“지진을 발생시킬 수 있는 원인이 활성단층이기 때문에 그것에 대한 분포를 모그고는 저희가 지진에 대해서 대비할 수가 없다.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 2016년 4월 14일 일본 규수 “구마모토 지진(규모 7.3)”. 내륙지진으로 80명 사망

- 구마모토 지진은 발견이 안된 활성단층에서 발생.


▣ 쓰루타 다카시 / 구마모토현 주민

“근처에 단층이 있다고 들었어요. 지진이 일어나서 처음 알았어요. 일본 내에 단층은 많이 있지만 대개 난카이 해구 같은 곳만 신경쓰고 이런 곳에 단층이 있다는 건 들어본 적도 없어요.”


- 일본에서조차도 새로운 활성단층이 계속 발견되고 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시사기획 창.E419.160920.한반도가 흔들렸다.720p-NEXT.mp4_00271438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720pixel
카메라 제조 업체 : Gretech Corporation
카메라 모델 : GomPlayer 2, 3, 4, 5256 (KOR)
프로그램 이름 : GomPlayer 2, 3, 4, 5256 (KOR)


- 이탈리아 지진(규모 6.2) 2016.8.24.

- 280명 사망. 오래돤 가옥들 붕괴. 100년 이상된 건물이어서 내진설계가 되어 있지 않았음.(아마티르치). 이웃한 도시 노르차에서는 사망자가 나오지 않음.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시사기획 창.E419.160920.한반도가 흔들렸다.720p-NEXT.mp4_002794997.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720pixel
카메라 제조 업체 : Gretech Corporation
카메라 모델 : GomPlayer 2, 3, 4, 5256 (KOR)
프로그램 이름 : GomPlayer 2, 3, 4, 5256 (KOR)


- 2차례 지진 발생하면서 내진 설계에 강화해 피해가 적었음.

- 활성단층이 위치한 곳에서는 내진 설계를 강화해야 한다.



묶음 개체입니다.